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Q1. 한동훈 대표, 사퇴 결심 선 걸까요? <br><br>한동훈 대표 측근들의 기류 종합해보면 사퇴할 결심, 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최고위원 다섯 명이 사퇴하고 비대위 체제 전환이 불가피해진 상황이었지만, 어제까지는 한 대표 "직무 수행하겠다" 했었죠.<br><br>'대표에게 차기 비대위원장 임명권이 있다'는 주장도 나왔고요. <br> <br>하지만, 결국 "한동훈 답지 않다" "비대위원장 의결하는 전국위원회는 어차피 친윤 판 아니냐"고 이야기하더라고요. <br> <br>그래서 결론은 "버티는 데 실익이 없다"는 겁니다. <br> <br>Q2. 그런데 오늘 오후까지도 기자회견 일정이 좀 혼선이 있었던거 같아요. <br><br>당초 오늘 오후에 한 대표가 기자회견 한다는 소식이 언론을 통해 먼저 알려졌는데요. <br><br>사실이 아니다, 부인하더니 최종적으로 내일 오전 10시 반 기자회견으로 공지가 됐습니다. <br><br>한 대표, 주변 인사들에게 의견을 구한 것으로 전해지는데요. <br><br>사퇴로 방향은 잡았지만, 메시지도 중요할테니 다듬는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Q3. 한 대표, 작년 딱 이맘때쯤인 것 같아요. 총선 앞두고 비대위원장 맡으면서 정치권에 발을 들였잖아요?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이미 대통령 최측근으로 관심을 한몸에 받았던 한 대표, 작년 이맘때쯤, 총선 치를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으로 정치권에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한 대표의 정치 1년, 그야말로 '윤한갈등의 1년'으로 돌아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총선 때 공천 갈등으로 대통령에게 사퇴요구 논란 빚었죠. <br><br>전당대회 때 한 대표와 김건희 여사의 '문자 읽씹논란', 대표 취임한 이후에는 독대 요청부터 인적쇄신 요청까지 대놓고 대통령과의 갈등 불거졌죠. <br> <br>윤 대통령 계엄령 선포 직후 누구보다 빨리 "탈당하라" "제명해야한다 했고, 조기 하야 퇴진 로드맵에 탄핵 찬성까지 꺼낸 것도 한 대표입니다. <br> <br>Q4. 윤한 갈등,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로 정점을 찍은거 같아요? <br><br>맞습니다, 어제 탄핵안 가결 뒤 의원총회에서 그 갈등, 폭발한건데요. <br><br>친윤계 의원들, 어제 고성에 삿대질에 친한계 인사들을 대놓고 저격하는 분위기였다고 해요. <br><br>의총장에 등장한 한 대표의 발언, "제가 투표했습니까, 제가 계엄했습니까" 반문하며 탄핵 가결이 맞았다고 주장하자 친윤계 의원들 이성을 잃었다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친한계 최고위원들마저 바로 단상에 올라 "사퇴하겠다" 선언하는 상황이 된거죠.<br><br>Q5. 한동훈 대표가 내일 사퇴 입장표명을 밝힌다면, 그이후엔 어떻게 되는겁니까? <br><br>당내 분열이 극에 달하고 있지만 당장 분당할 분위기는 아닙니다.<br> <br>친윤계도 친한계도요. <br><br>지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뼈아픈 교훈 얻었기 때문이죠. <br><br>한동훈 대표, 내일 사퇴 입장을 밝힌다면 당분간 정치적 휴지기를 갖게 되겠죠. <br><br>친한계에선 명태균 수사나 탄핵심판 상황 따라 조기대선 국면에서 한 대표 복귀 가능성 있다고 보고요.<br><br>국민의힘은 친윤계를 중심으로 비대위를 꾸리겠죠. <br><br>친윤계 내에선 한 대표 당에서 몰아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리는데요. <br><br>새 비대위 체제가 들어서면 한 대표에 대한 출당, 제명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, 이세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세진 기자 jinlee@ichannela.com